반응형

 

<오리지널 약탕기에는 몇첩을 넣고 달였을까>

위 사진은 대구약령시 박물관에 놓여있는 구한말 약장과 약탕기들이다.

약장의 사이즈는 1리터 남짓한데 3가지 약재를 수납하기도 한다. 서랍에는 관련되는 약재들이 서로 조합되어이 있다. 적작약과 백작약, 황련+황백+황금, 창출과 백출 등등 이런식으로.

휴대용 약장도 아닌데 현대식 약장과 비교하면 사이즈가 너무 작아보인다.

약탕기도 마찬가지다. 3리터 정도 되는 냄비들이다. 냉장고가 없었으므로 약탕기에는 1첩 분량만 넣어서 달였을 것이다. (참고로 이 박물관에는 주막에 쓰던 대접도 전시되어 있다. 현대의 대접에 비해 용량은 2배 정도 된다.) 이 약탕기로 달이면 한 대접 분량밖에 안 나온다.

 

1934년 동아일보 연재소설 삽화에 나오는 탕약대접의 모습이다. 보기만 해도 배불러올 것 같은 사이즈다. 이 대접 크기와 위의 약탕기 사이즈를 비교해보라. 위의 약탕기들은 모두 1첩을 달이는 용도임을 알 수 있다.

 

<약재는 얼마나 비쌌을까>

조선왕조실록에 나오는 인삼수출 기록 내용에서 기재된 같은 가격의 당시 쌀의 분량을 현대의 쌀가격으로 환산해보면 인삼 300g이 당시에 (현재 물가기준으로) 70만원 내외에 해당한다. 인삼 40g이면 인삼값만 10만원 정도 나오게 된다. 이거 손 떨려서 쓰겠나. 실록에 보면 인삼은 임금님 하사품 목록에 들어가 있다.

 

<당시 1첩에 들어가는 약재의 양은 얼마였을까?>

동의보감 집례에 보면 한가지 처방에 4~5가지 약재만 쓴다면 첩당 5돈도 가능하다고 함. 하지만 보통 처방 기준으로는 첩당 7~10돈이 적당하다고 나와있다. 일률적으로 한 첩에 5돈으로 맞추는 것은 너무 적다고도 나와있다. 왜 5돈이 적다고 써놨을까? 당연히 5돈 정도로 처방하는 애들이 있었으니까, 그런 비판이 나온 것이고 허준이 동의보감을 지으면서 기존 처방의 용량을 전부 새로 조정했다. 5돈이면 20g이다. 참고로 동의보감 처방에서 군신좌사를 세팅할때 기준이 되는 약재는 신약이 되고 기준은 4g이다.

처방의 용량을 구성하는 룰에 대해서는 탕액편 <제약방약>부분에 나온다.

갯수 : 군약 1개 정하고 신약 2개, 좌약 3개, 사약 5개가 기준이다.

용량 : 군약100%, 신약 75%, 좌약 55%, 사약 35% 기타 가감하는 약은 좌사약 기준으로 첨가한다.

신형문의 단방투약법에 보면 한가지 약재로 투약할 수 있는 맥시멈의 기준을 5돈(20g)으로 설정해두었다. 실제로 정조가 인삼 5돈을 달여서 미음과 같이 갖고오라는 내용이 있다.

의서 중에 용량을 안 적어둔 의서도 있는데 동의보감에는 용량이 꼭 기재되어 있다. (참고로 상한론의 경우 통샤오린의 논문을 토대로 1냥을 15.6g으로 보는 설이 가장 타당하다.)

<달이는 시간>

탕액편에 보면 약달이는 법에 대해서도 나온다. 기준은 물증발량을 기준으로 한다.

1.땀내거나 대소변나오게하는 약 : 물의 20%가 증발할때까지만 전탕

2.병에 맞춰서 쓰는 대부분의 약 : 물의 30%가 증발할때까지 전탕

3. 보약 : 물의 40%가 증발할때까지 전탕한다.

 

<하루에 2첩 먹는게 맞을까>

 

<동의보감에 나오는 복용법>

한문 1067P에 보면 사역산은 日二라고 하루 두번 먹는다고 나오고 감초탕은 日三服이라고 하루 3번 먹는다고 나와있고 길경탕은 그냥 水煎服이라고 나온다. 즉 한약을 하루 1번 먹는건 특이한 경우가 아니고 보편적인 상황이므로 따로 표기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

피문 734p에 보면 인삼익기탕이 나오는데 日二라고 나온다. 하루 두번 먹어라. 그 뒤에 충화보기탕이 나오는데 2첩으로 나눠서 달여 먹는다라고도 나온다. 하루 2번은 200%로 복용량을 늘리는것이고 2첩으로 나누라는것은 50%로 복용량을 줄인다는 의미이다.

<조선왕조실록에 나오는 첩수>

선조실록 136권, 선조 34년 4월 15일 임오 6번째기사 1601년 명 만력(萬曆) 29년

약방 도제조 김명원과 제조 유근, 부제조 윤돈이 아뢰기를,

"신들은 의관들을 통하여 성후(聖候)에 감기의 증세가 있음을 삼가 듣고 놀라움을 금치 못하였습니다. 인하여 상의하니, 인삼청폐산(人蔘淸肺散)에다 방풍(防風) 1돈, 백출(白朮) 5푼을 가미(加味)하고, 반하(半夏)를 배로 넣어 5첩을 진어(進御)하는 것이 합당하다고 하였기 때문에 감히 아룁니다."

 

선조 34년 4월 16일 계미 2번째기사 1601년 명 만력(萬曆) 29년

약방 도제조 김명원과 제조 유근, 부제조 윤돈이 아뢰기를,

"어제 약을 지어 들였는데, 삼가 진어(進御)하신 후의 성후(聖候)가 어떻하신지 알지 못하여 감히 와서 문안드립니다."

하니, 답하기를,

"평안하다. 약은 어제 1첩 복용하였는데 감기 증세는 점점 차도가 있다. 문안하지 말라."

 

선조도 15일에 1첩 먹었다고 한다.

 

선조실록 136권, 선조 34년 4월 18일 을유 4번째기사 1601년 명 만력(萬曆) 29년

"신들이 의관을 통해서 성후(聖候)의 감기 증세가 아직도 쾌차하지 않다는 말을 삼가 전해 듣고, 의관들과 상의해 보니 ‘당초 성후는 담열(痰熱)이 있어서 폐를 맑게 하는 것이 우선 필요하였기 때문에 인삼청폐산(人蔘淸肺散)을 올렸던 것이다. 이제 3첩을 드시고 담열은 내린 듯하나 원기가 부실하니 우선 청폐산을 중지하고 다시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에다 방풍(防風)·반하(半夏) 각 1돈과 백복령(白茯苓) 7푼, 백지(白芷)·행인(杏仁) 각 5푼, 계지(桂枝) 3푼을 가미하고, 원처방의 황기(黃芪)·승마(升麻)·시호(柴胡)를 모두 꿀에 볶아서 5첩을 진어(進御)하는 것이 합당하다.’고 하였습니다. 감히 아룁니다."

 

결론은 4월 15일에 선조가 감기에 걸려서 5첩을 처방했고 15,16,17일에 총 3첩을 먹고난 뒤에 18일이 되어 아뢰기를 증상이 모두 사라져서 보중익기탕 5첩으로 처방을 다시 내렸다는 내용이다.

의관들이 하루 1첩 분량으로 처방한 것이 명백하다.

 

 

 

정조실록 54권, 정조 24년 6월 27일

시수가 여러 의관과 함께 탕약을 의논해 정한 뒤에 가감팔물탕(加減八物湯) 방문을 가지고 읽어드리자, 상이 명길에게 이르기를,

"오늘은 두 번을 복용해야 할 것이니 인삼 두 돈을 한 돈으로 고치는 것이 좋겠다."

 

하루에 2번 복용해야하는 것이 스탠다드가 아니므로 정조가 이렇게 표현한 것이다. 이때는 정조가 몹시 아플 때다. 특별히 두번 복용할테니까 용량은 절반으로 줄이라는 내용이다.

 

 

영조실록 94권, 영조 35년 8월 4일 辛巳 2번째기사 1759년 청 건륭(乾隆) 24년

임금의 환후가 편치 못하자 도승지는 동벽(東壁)에 입직(入直)하고, 두 수의(首醫)는 내국(內局)에 입직하였으며, 오적산(五積散)을 달여 들였다.

 

영조실록 94권, 영조 35년 8월 5일 壬午 1번째기사 1759년 청 건륭(乾隆) 24년

오적산 두 첩을 다시 달여 들였다.

 

위의 내용을 보면 영조가 아파서 8월 4일 오적산을 먹는다. (실록은 보통 하루에 일어난 사건을 시간순서대로 기록한다.)

그리고 그 다음날 오적산 두첩을 달여서 먹었다고 첩수를 명시해서 나온다. 전날 먹은 오적산의 첩수가 기록되지 않은 것은  필시 1첩을 의미한다. 1첩 먹어보고 잘 안 나아서 이튿날 2첩을 달여먹었다는 것인데, 이것이 스탠다드한 상황이 아님을 즉, 하루에 2첩을 먹는 것이 '특이한 상황'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영조는 오적산을 이틀동안 3첩을 먹고난 이후에 그 뒤로는 오적산을 먹지 않았다. 한약이 이렇게 짧게 치고 빠지는 약이었단 말인가!!!

 

좀더 자세한 승정원일기를 보자.

<인조 19년 신사(1641) 3월 11일> :

“신들이 의관 최득룡(崔得龍) 등과 상의하였더니, ‘근래 일기가 고르지 못하니 성상의 체후가 손상된 것은 외감(外感)에서 연유한 것입니다. 인삼강활산(人蔘羌活散)을 쓰고 지모(知母)와 생지황(生地黃) 각 1돈(錢), 황금(黃芩)과 방풍(防風) 각 7푼(分)씩을 첨가해서 2첩(貼)으로 먼저 화해하는 것이 마땅합니다.’ 하였으니, 이 약을 지어 올리겠습니다. 감히 아룁니다.”
하니, 알았다고 답하였다.

그 다음날 3월 12일> :

약방 제조 이명(李溟)과 동부승지 윤득열이 아뢰기를,
“밤사이 성상의 체후는 어떠하십니까? 허한(虛汗)이 나고 오한과 고열이 오르내리는 증세는 나아진 것이 없습니까? 어제 지어 들인 인삼강활산 2첩을 진어하신 뒤이므로 화해되는 추이를 봐야겠지만, 신들은 몹시 애타는 마음을 금할 수 없어 이렇게 감히 문안드립니다.”
하니, 답하기를.
“아픈 것이 똑같고 밤사이 답답한 증세가 더욱 심하였다.”
하였다.

약먹어도 효과 없더라는 임금님 답변!

그 다음날 3월 13일>

약방 제조 이명(李溟)과 부제조 심연이 아뢰기를,
“밤사이 성상의 체후가 어떠하십니까? 답답한 증세는 어제에 비해 다소 나아진 것이 없으십니까? 약 2첩을 진어하신 후 화해의 기미가 어떠하십니까? 신들은 너무나도 애타는 구구한 마음을 금할 수 없어 이렇게 감히 문안드립니다.”
하니, 답하기를,
“여러 증세가 다소 나아진 듯하다.”
하였다.

2첩먹으니 효과 좀 있다는 임금님 답변!

그리고 다시 새로운 처방이 나온다.

두 번째 아뢰기를,
“방금 삼가 여러 증세들이 다소 나아졌다는 하교를 받들고 보니, 지극히 기쁘고 다행스러운 마음을 금할 수 없습니다. 신들이 어의 최득룡(崔得龍) 등과 상의하였더니, ‘외감(外感)의 증세가 점차 나아지고 있지만 2첩을 진어하시는 것만으로는 약효가 너무 미미합니다. 나머지 증세가 평상으로 완전히 회복되지 않으면 시일을 끌면서 낫지 않는 상태가 지속될까 염려스러우니, 전에 올린 인삼강활산에 예전처럼 약재를 첨가하고 볶은 산치인(山梔仁) 7푼을 더 첨가하여 1첩을 연달아 진어하시는 것이 마땅합니다.’라고 하였습니다. 이대로 지어 들이겠습니다. 감히 아룁니다.”
하니, 알았다고 답하였다.

 

즉 3월 11일에 2첩 처방을 하고나서 3월 13일에 2첩 드시니까 약효가 좀 어떠시냐고 묻는 장면이 나온다. 하루 2첩이 정량이라면 당연히 3월 12일에 물었어야한다. 새로운 처방이 3월 13일에 나왔으므로 하루 1첩을 복용한 것이 맞다.

 

더 결정적인 부분은 만약 하루 2첩이 정량이라면 3첩 처방은? 나올 수가 없지.

인조 18년 6월 3일  계축 1640년 / 麥門冬 등을 첨가한 人蔘白虎湯 3첩을 더 지어 올리겠다는 藥房의 두 번째 계

그리고 3일 뒤에 다시 이런 승정원일기 내용이 나온다.

조 18년 6월 6일  병진 1640년 / 앞서 지어 들인 人蔘白虎湯 3貼를 복용한 이후의 증세를 알아야 다시 다른 약을 의논할 수 있다는 藥房의 계

인조 18년 9월 3일  신사 1640년 / 小柴胡湯 3첩을 지어서 들이겠다는 藥房의 세 번째 계

그리고 3일뒤에....

인조 18년 9월 6일  갑신 1640년 / 병세를 살핀 후에 다시 다른 약을 상의하여 지어 올리겠다는 藥房의 계

 

결론 :

조선왕조실록에는 하루에 1첩을 먹는다는 내용이 수도 없이 나온다. 하루에 약을 2번 먹는 것은 '특이한 상황'으로 표현된다. 병세가 위중하거나 차도가 없거나...

1970년대에 이르면 비로소 신문기사나 연재소설 등에서 하루에 2첩을 먹고 아침에 한첩, 점심에 한첩, 저녁에는 재탕해서 한첩 총 3번에 나눠서 먹는다는 내용이 나온다.

우리가 하루 2첩을 먹는 습관이 채 50년도 되지 않은 것 아닐까?

더군다나 냉장고, 대형약탕기, 레토르트 파우치가 나타나면서 1가지 처방을 10일분, 15일분씩 달여서 하루 2,3회 복용토록하는 현대식(?) 첩약투약패턴에 대해 엄밀한 재고가 필요해 보인다.

 

본인 결론 : 한약은 하루에 1첩 분량을 달여 1회 복용하는 것이 맞고 복용기간은 1처방당 최대 5일을 넘기지 않는 것이 통상적이었다.

 

반응형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