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돈, 푼, 첩, 제 이런 단위는 이제 퇴출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원장이 쓰면 놔두는게 관례였으나 이로 인한 혼란이 심각하다.

 

"한제가 며칠분이에요?"

 

환자에게 귀에 딱지가 앉도록 들은 말이다. 그래서 박사님 한의원은 아예 제, 첩 따위의 단위를 쓰질 않는다.

처방 낼 때도 하루분량 몇g으로 낸다.

첩이라는 것도 버려야 한다. 누구는 하루 3첩이라 하고 누구는 하루 2첩에 재탕해야 한다고 하고 누구는 현대인 체격이 커졌으니 첩당 증량해야 한다고 하는데 아예 하루분 몇 그램으로 못 박아야 혼란이 안 생긴다.

 

어떤 원장이 처방전에 황기 120 인삼 100 이런식으로 올려놨다. 이게 뭐야? 이해가 안되는 이런 정보는 필요 없다. 한제에 넣는 그램수인가? 그럼 며칠분이야? 10일? 15일? 아니면 환자 맘대로?

 

그리고 같은 약이라도 어떤 원장은 bid로 주고, 어떤 원장은 tid로 주고 이러니 제대로 피드백이 되질 않는다.

 

용량은 또 어떠한가?

120ml를 담아주는 것도 그렇다. 왜 그러냐고 물어보면 근거가 없다. 단지 환자들이 120ml 보다 적으면 컴플레인을 한단다. 참고로 현재 박사님은 bid 100ml로 투약하고 있다. 실제로는 그렇게 컴플레인이 없다.

 

달이는 시간은?

무슨무슨 탕은 몇 사이즈 크기로 추말해서 몇분간 몇도로 냉침한 후에 100도로 몇분간 전탕해야하는지 기준이 정해져야 한다.

 

게다가 한약재는 천연물이다. 약재 자체가 이미 정량화, 표준화 되기 어렵다. 훨씬 더 강력한 퀄리티 컨트롤이 필요한 영역이다.

 

오늘도 처방전을 보는데 오미자 9알이라고 나와있다. 오미자도 사이즈가 다 다르다. 한약재 단위 중에 무게가 아닌 부피로 나와있는 경우는 모두 무게로 환산해야 한다.

 

도대체 지난 50년 동안 뭘 한 거야?

 

한의학 영역에서 표준화할 건수는 어마어마한데 능동적인 주체는 없다.

 

가장 시급한 것은 '첩'단위로 처방을 내는 것부터 버려야 한다. '일'단위로 처방을 내야 한다. 학생때부터 이런 습관을 들여야 한다.<bk>

 

 

반응형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