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부는 두 단계로 이루어진다.

1. 똥인지 된장인지 모르는 단계

뭐가 중요한지 모르기 때문에 그냥 무작정 모은다. 닥치는대로 읽고, 정리하고, 모은다.

 

2. 된장만 남기는 단계

모아놓은 것들에서 하나씩 지워나간다. 똥을 싹 버린다. 이 단계에서는 자료가 점점 없어진다.

 

가끔 보면 책 산더미처럼 쌓아놓고 프린트물 탑처럼 만들어놓고 자기 공부 잘한다고 하는 애들이 있는데, 그런건 공부 한게 아니다. 그냥 쇼하는거지. 공부의 완성은 모아놓은 걸 얼마나 많이 갖다버렸느냐에 달렸다. 마지막엔 A4 한장 남기는게 공부야. 그것도 공간이 남는다. 약공부를 계속 해봐라. 처방갯수가 늘어나는지 줄어드는지.

똥인지 된장인지 모르는 1단계에서 교수가 되는 경우가 있다. 수업을 들어도 무슨 말인지 이해가 안 된다. 분량은 엄청나게 많은데 뭔가 멋진걸 많이 배운거 같은데 남는게 없다. 똥인지 된장인지 모르는 정보들만 쏟아내기 때문이다. 공을 제대로 찰 줄 모르는 코치가  24가지  프리킥 차는 법을 가르치는 것과 같다.

된장만 남은 2단계의 교수가 가르치면 역시 못 알아듣는다. 차범근이 수원삼성 감독할 때 구마모토 전지훈련 가서 실제로 슛하는 시범을 보이면서

"너희들 이거 이렇게 차면 들어가는데 왜 못 넣냐?"

"자세 잡고 공을 때리면 공이 골대 구석에 딱딱 들어가잖아."

 

 

반응형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