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돈은 4g이다. 간혹 3.75g이라고 알고 있는 경우도 있는데 이미 이건 논문으로 4g임이 증명된지 오래다. 3.75를 사용하면 6% 적게 약재가 들어가게 된다. 잊지마 1돈은 4g이야!
390g짜리 약재를 4600cc의 물에 충분히 담궈서 불렸다가 사람 손으로 압착하면 약재 내부에 약재무게의 약 1.7배~3배의 물(680cc~1170cc)가 머무른다. 흡수배율이라는 건데 양격산이 2배라면 육미는 3배 정도 된다. 이건 약재가 얼마나 많은 수분을 흡수하느냐에 달린 문제라서 처방마다 천차만별이지만 대략 2~3배 정도에서 감으로 잡는다. 숙지황 용안육 복령 율무 들어가면 3에 가깝게 잡아준다.
본인한의원 기준으로 60분 전탕시에 5분당 약 112cc의 물이 증발하여 총 1350cc가 증발하고(물의 증발량 역시 약처방에 따라 조금 달라진다. 30첩 달일때보다 5첩달일때 약액의 표면적이 넓어져서 증발량이 늘어난다. 5첩씩 줄어들대마다 100cc씩/h 더 증발량이 늘어난다고 보면 된다. 기약과 혈약의 전탕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이것도 고려해야한다.
포장하면서 포장기에 마지막에 남는 약액과 처음 포장시 첫 파우치로(샘플용) 버려지는 약액이 약 330cc 정도
(원래 세이버포장기에서 최대한 쥐어짜내는 과정에서 로스가 생기는 양은 100cc 남짓이다. 거의 다 포장될 수 있다. 하지만 입력수치와 실제주입량에서 오차가 발생하고 첫 파우치는 버리기 때문에 로스를 330 정도로 잡아준다.)
실제로 파우치에 포장되어 환자에게 배송되는 약액은 2240cc
결과적으로 전탕되는 과정에서 약액의 로스가 13%정도 생김.
조선시대 남성의 평균키 161cm 51kg / 여성 149cm 41kg
70kg의 현대 남성에게 처방을 낸다고 하면 체중에서 37% 처방을 증량해야하고 포장로스 13% 증량. 토탈 50%는 증량을 해야 얼추 맞게 된다. 하루 1첩을 투약하고자한다면 1.5첩 분량의 처방을 내야함.
(하루 1첩을 기준으로 잡는 이유는 https://bktoon.com/3323 참조바람.)
60kg의 현대 여성에게 부인문 포문 등의 여성 빈용처방을 낸다고 하면 무려 46.3%의 처방증량과 포장로스 13%. 토탈 60%의 증량이 필요하다.
왜 조선시대에 하루 1첩을 먹던 한약이 현대에 들어서 하루 2첩분량으로 늘어나게 됐느냐는 질문에 대한 힌트가 혹시 한국인들의 체중 증가 때문이 아닐까? 일제시대를 거쳐 근대화과정에서 영양공급이 풍족해졌고 조선시대에 비해 (1)체중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고, 거기다가 가정에서 달여먹던 방식에서 대용량의 레토르트 파우치 형태의 포장기가 출현하면서 (2)하수구에 버려지는 약액이 10% 이상 늘어났고, 거기다가 옆집은 20봉다리 주는데? 니는 왜 10봉다리 주냐??로 대용량 약탕기 사용으로 인해 20첩 1제 개념을 환자가 헷갈리게 되면서 (3)봉다리 숫자를 늘리다보니 자연스레 약효는 더 떨어지고 환자들의 복용텀도 길어진다. 예전에는 1제 분량으로 10일만에 복용했는데 지금은 15~20일만에 복용하게됨. 기존의 용량대로 처방하자 약이 잘 안 듣게 되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자연스럽게 하루 2첩 분량이 자리잡게 된 것은 아닐까? 본인은 현대인에게는 하루 1.5첩이 적정하며 환자 체중에 따라 보정이 더 디테일하게 들어가야한다고 본다. (실제로 본인 한의원에서는 이런 방식으로 한약 용량을 정하고 있다.)
요약 : 마지막 한방울까지 짜서 먹던 전통방식과 달리 현대 한의원의 대용량 포장과정에서 손실이 생기고 봉다리수 늘리기는 과정에서 체중까지 과거 한국인에 비해 현대 한국인의 체중이 30~50% 더 나가므로 약처방시에도 체중에 따라 50% 내외의 할증을 부여해야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